비만도 계산법 BMI 지수 체크하기

비만도 계산법 BMI 지수 체크하는 방법에 대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요즘 시국때문에 바깥에 운동이라도 나가기가 힘들죠. 살은 점점 더 찌는 것 같고, 비만도는 점점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이제 더는 간과할 수 없다고 생각하여, 가장 먼저 체크해 보는 것이 나의 비만도를 손쉽게 체크할 수 있는 BMI 지수인 것 같습니다.

 

비만도 계산법 BMI 지수 체크하기

 

비만은 그 자체로 하나의 질병으로 인정이 되고 있습니다. 비만으로 인한 당뇨병, 고혈압 등의 질병에 노출되기 쉽고, 비만으로 인한 대사질환으로 암의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하기 때문이죠. 이미 세계보건기구 WHO에서는 비만을 질병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BMI 지수 비만 기준

 

BMI 지수 수치를 구간별로 나누면 25이상을 비만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우리나라의 경우 아래와 같이 분류하고 있습니다. 

 

  • 18.5 미만 : 저체중
  • 18.5~23 : 정상체중
  • 23~25 : 과체중
  • 25~30 : 비만
  • 30 이상 : 고도비만

 

lose weight 문구조깅하는 남녀
비만 체크

 

 

더불어 미국의 경우를 보면, WHO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보다는 조금 더 높은 수치를 비만으로 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BMI 지수 기준이 다른 이유는 아시아인이 BMI지수가 낮아도 체지방률이 높은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BMI 지수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18.5 미만 : 저체중
  • 18.5~25 : 정상체중
  • 25~30 : 과체중
  • 30~35 : 비만
  • 35 이상 : 고도비만

 

BMI 지수 계산 방법

 

 

계산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핸드폰이나 컴퓨터에 계산기로 간단하게 계산해보면 되는데요. 몸무게를 미터로 환산한 키 값으로 2번 나눠주면 됩니다. 

  • 몸무게 / 미터로 환산한 키 / 미터로 환산한 키

예를들어 본인에 몸무게가 78이고, 키가 174라면, 78을 1.74로 2번 나눠주면 되는거죠.

  • 78 / 1.74 / 1.74 = 25.76

 

BMI 계산기 결과값
계산기 결과값

 

결과값이 25.76이면, 우리나라 BMI 지수 기준 비만에 해당됩니다. 미국 기준으로는 과체중에 해당하네요. BMI 30 이라면 우리나라에서는 비만에서 고도비만으로 가는 수치로 판별되는데, 미국 기준으로는 과체중에서 비만으로 가는 수치로 판단합니다. 우리나라 bmi 기준이 미국보다 훨씬 엄격한 편입니다.

 

BMI 지수 계산기

 

포털에서 제공하는 비만도 계산기 기능을 이용하면 보다 편리하게 같은 계산을 하실 수 있습니다. 'bmi지수'라고 검색하시면 나오는 계산기에 키 174에 몸무게 78을 넣고 계산해보면, 25.76의 같은 결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포털 bmi지수 계산기
bmi지수 계산기

 

 

BMI 지수로 비만도 계산을 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는데요. 몇 년 전에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비만율이 38%에 달한다는 기사를 본적이 있습니다. 꽤 높은 수치인데요. 그만큼 비만 인구가 높아졌다는 말도 되지만, 우리나라의 비만 기준이 다소 엄격하게 책정되었다는 주장도 있는 상황입니다. 미국이 비만인 사람들이 더 많은데 비만율은 우리나라보다 다소 작게 측정되는 이유가 BMI 지수를 보다 느슨하게 적용하기 때문이라고 분석되기 때문이죠. 요즘에는 우리나라의 경우도 BMI 지수 비만 기준을 27~28로 올리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복부 비만 사진
비만은 만병의 원인

 

BMI 지수로 비만과 건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는 없지만, 비만도 계산법으로 손쉽게 체크해볼 수 있는 방법인만큼 아직도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에 하나인데요. 건강을 위해 기준이 되는 수치를 찾는 것은 필요하지만, 요즘 인바디 같이 체성분을 간편하게 측정하는 기구 들이 많이 있는만큼 BMI 수치를 꼭 맹신할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